[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기초 — 1

Ujeon 🍵
2 min readJan 23, 2020

--

Photo by Timothy Ries on Unsplash

타입 사용하기

자바스크립트와 마찬가지로 타입스크립트에도 타입이 존재합니다. (이름 자체가 타입스크립트…) 가장 먼저 타입스크립트에 존재하는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핵심 타입들

  1. number : 자바스크립트와 마찬가지로 타입스크립트에는 number 타입이 존재합니다. 역시 자바스크립트와 마찬가지로 정수, 소수 모두 number로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string : 자바스크립트처럼 홑따옴표(‘), 겹따옴표(“), 백틱(`) 모두 string 타입입니다.
  3. boolean : true와 false로 나타내는 타입입니다.

위 세 가지 타입이 타입스크립트의 핵심 타입입니다. 이외에도 다른 여러 타입이 존재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타입 사용해보기

앞서 배운 타입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해서 주어진 두 숫자를 더하는 addNumbers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와 차이점이 보이시나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와는 다르게 파라미터에 : number가 붙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파라미터에 number라는 타입을 정해줌으로써, 해당 함수는 숫자 타입 만을 전달 받는다고 명시하는 것이죠.

만일 숫자말고 문자를 전달받으면 어떻게 될까요?

에러 발생!

변수 number1 값을 '5'로 변경하면 addNumbers함수는 string을 인자로 전달받을 수 없다고 경고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위의 코드를 실행해보면 어떨까요?

에러가 발생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대신 함수가 의도하는 결과가 아니라 510이 출력될 것 입니다. 즉, 타입을 잘못 전달해도 코드를 실행하는데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잘못된 타입을 전달해도 실행이 되면 ‘타입을 지정하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나’ 싶지만, 개발하는데 있어 타입을 지정해두면 조금 더 오류가 적게 발생하는 코드를 쓸 수 있게 됩니다.

--

--

Ujeon 🍵
Ujeon 🍵

Written by Ujeon 🍵

Hi there, this is Ujeon. I want to be a developer who passes on value through development :)

No responses yet